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metasploit_series
- iso http통신
- 위험분석 관리
- DVWA 설치
- AWS 용어
- javascript끄기
- ms트래픽문제
- 취약점
- Risk Analysis
- 티스토리 오류 수정
- 보안뉴스
- elasticsearch
- AWS 리전이란?
- tlu.dl
- AWS 가용 영역
- windows트래픽
- 게시글 복사 방법
- 데이터베이스 보안 정리
- openvpn error
- 정보보안기사 데이터베이스
- DVWA 환경구성
- 정보보안기사 전자지불 시스템
- openvpnconnect
- 전자금융_취약점
- 정보보안기사 위험분석 정리
- xz-utils
- AWS AZ
- AWS SA Series
- 정보보안
- 정보보안기사
Archives
- Today
- Total
ARTIFEX ;)
데이터베이스 보안 정리 본문
반응형
# 데이터베이스(DataBase) 보안통제 :
- 흐름제어 :
- 객체 A의 값을 읽어 이를 객체 B에 기록할 때 정보흐름이 발생한다.
- 어떤 객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가 명시적/암시적으로 낮은 보호수준의 객체로 이동하는 것을 검사하여 접근 가능한 객체의 정보흐름을 조정하는 것
- 추론제어 :
- 간접적인 데이터 노출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제어
- 비밀정보를 은폐하거나 DB사용자에게 부정확한 혹은 일관성이 없는 질의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 접근제어 :
- DB에서의 접근통제는 운영체제의 접근통제와 유사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보다 복잡하다.
- OS의 접근통제 : OS의 객체는 다른 객체와 관련성이 없어 사용자는 하나의 파일을 읽고 다른 파일의 내용을 결정할 수 없다.
- DB의 접근통제 : DB의 객체는 상호 관련되어 있어 사용자는 하나의 데이터 요소를 읽고서 다른 데이터의 내용을 결정할 수 있으며 객체의 크기도 상이하다.
- 추론과 통계적 DB
- 인가된 쿼리 수행과 합법적 응답을 통해 비인가된 정보를 추론하는 것
- DB 설계 시 추론 탐지 : DB 구조 변경 혹은 접근 제어 방식의 변경으로 추론채널을 제거함으로써 추론을 방지
- 쿼리 타임 시 추론 탐지 : 쿼리 처리 중 추론 채널 위반을 제거하려는 시도. 추론 채널이 탐지되면 쿼리를 거부하거나 변경한다.
# DBMS 보안 통제 :
- SQL 기반의 접근통제
- View 기반의 접근통제
- DBMS 보안 점검 사항 :
- 디폴트 계정 패스워드 변경, DB 패스워드 규칙 강화
- DBA 권한의 제한 : 일반 계정이 DBA 권한을 부여받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보안 패치 적용하여 취약점 제거
- 사용하지 않는 계정 삭제
- 개발자 IP 접근 제한
- 데이터의 암호화
# DB 암호화 방식 :
- Plug-in 방식 : 암/복호화 모듈을 DB서버 내에 설치하여 암/복호화를 수행하는 구조
- API 방식 : 암/복호화 모듈을 어플리케이션 서버 내에 설치하여 암/복호화를 수행하는 구조
- Hybrid 방식 : Plug-in + API
- TDE 방식 : DBMS에 추가 기능으로 제공되는 암호화 기능을 이용하여 DB 내부에서 데이터 파일 저장 시 암호화하고, 파일에 저장된 내용을 메모리 영역으로 가져올 때 DBMS에 의해 자동으로 복호화한다.
- 파일 암호화 방식 : OS 상에서 확인 가능한 개체인 파일을 암호화하는 방식
# 클라우드 보안 :
- 클라우드 컴퓨팅 : 정보를 자신의 PC가 아닌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로 처리하는 기술
- 클라우드 컴퓨팅의 3가지 서비스 모델 :
- SaaS(Software as a Service) : 사용자는 제공자가 클라우드 기반 구조에서 실행되도록 올려놓은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 PaaS(Platform as a Service) : 사용자는 자신이 생성하였거나 프로그래밍언어로 만든 기존의 프로그램 또는 제공자가 지원하는 도구를 클라우드 기반 구조에 배치할 수 있다.
-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사용자는 프로세싱, 저장소, 네트워크 및 기본적 컴퓨팅 자원을 사용자가 배치할 수 있는 곳에 제공하고 모든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 (OS 포함)
-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 :
- Secaas(Security as a Service) :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시하는 보안 서비스 패키지
- SecaaS는 CP(Cloud Provider)가 제공하는 SaaS의 일부이다.
반응형
'# License > 정보보안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T(Secure Electronic Transaction) 정리 (0) | 2020.05.23 |
---|---|
전자지불 시스템의 보안 요구사항 (0) | 2020.05.23 |
# 정보보안기사 - 위험분석 정리 (0) | 2020.05.22 |
전자 입찰 요구조건 (0) | 2020.05.22 |
# 이메일 보안 정리 (0) | 2020.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