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openvpn error
- tlu.dl
- 정보보안기사 위험분석 정리
- DVWA 설치
- 전자금융_취약점
- Risk Analysis
- 보안뉴스
- 데이터베이스 보안 정리
- 티스토리 오류 수정
- 취약점
- 정보보안기사 데이터베이스
- xz-utils
- 정보보안기사 전자지불 시스템
- windows트래픽
- AWS 가용 영역
- 정보보안기사
- javascript끄기
- metasploit_series
- 게시글 복사 방법
- openvpnconnect
- elasticsearch
- 위험분석 관리
- ms트래픽문제
- AWS 리전이란?
- DVWA 환경구성
- iso http통신
- AWS 용어
- 정보보안
- AWS AZ
- AWS SA Series
- Today
- Total
목록# Other IT Something/DB_MariaDB && MySQL (2)
ARTIFEX ;)
MySQL Replication 갈레라 클러스터링을 이해하기에 앞서서 먼저 가장 널리(그리고 쉽게) 사용되는 MySQL Replication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자. MySQL Replication 방식은 Master/Slave 방식의 구성이 일반적이며, 이 구성의 경우 특정 노드는 쓰기를 담당하고 나머지 노드는 읽기를 담당하는 형태로 구성이 된다.통상적으로 데이타 베이스 트랜젝션의 60~80%가 읽기 트렌젝션이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더라도 충분히 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다음 그림은 MySQL Replication 의 간단한 구조도 이다. 먼저 좌측의 Master Node에 쓰기 트렌젝션이 수행되면 Master node는 데이타를 저장하고, 트렌젝션에 대한 로그를 내부적으로 BIN LO..
# MariaDB 간략하게 MariaDB 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MariaDB 는 MySql의 발전된 형태의 완벽한 대체제로 볼 수 있다. 아래의 MariaDB를 설명한 글은 위키백과에서 참조했음을 밝힌다. MariaDB는 오픈 소스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다. MySQL과 동일한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하며, GPL v2 라이선스를 따른다. 오라클 소유의 현재 불확실한 MySQL의 라이선스 상태에 반발하여 만들어졌다. 배포자는 몬티 프로그램 AB(Monty Program AB)와 저작권을 공유해야 한다. 이것은 MySQL과 높은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며, MySQL APIs와 명령에 정확히 매칭하여,라이브러리 바이너리와 상응함을 제공하여 교체 가능성을 높이고자 함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