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Develop/IT Other

MySQL - Replication

Artifex_Ethan_ 2016. 11. 3. 12:36
반응형

MySQL Replication


갈레라 클러스터링을 이해하기에 앞서서 먼저 가장 널리(그리고 쉽게) 사용되는 MySQL Replication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자. MySQL Replication 방식은 Master/Slave 방식의 구성이 일반적이며, 이 구성의 경우 특정 노드는 쓰기를 담당하고 나머지 노드는 읽기를 담당하는 형태로 구성이 된다.

통상적으로 데이타 베이스 트랜젝션의 60~80%가 읽기 트렌젝션이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더라도 충분히 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다음 그림은 MySQL Replication 의 간단한 구조도 이다.

 




먼저 좌측의 Master Node에 쓰기 트렌젝션이 수행되면 Master node는 데이타를 저장하고, 트렌젝션에 대한 로그를 내부적으로 BIN LOG라는 파일에 저장한다. (시간 순서대로 수행한 업데이트 트렌젝션이 기록되어 있다.)


Slave Node에서는 이 BIN LOG를 복사해온다. 이 복사 작업을 IO Thread라는 스레드가 수행하는데, 이렇게 읽어온 내용은 Replay Log라는 파일에 기록이 된다. 이렇게 기록된 내용은 SQL Thread라는 스레드가 읽어서, 하나씩 수행을 해서  MySQL 데이타 파일에 기록을 한다.


쉽게 설명하면, insert 쿼리를 master node에서 실행했으면 그 쿼리가 master node의 bin log에 기록이 되고, 이 내용은 slave node에 복사가 된후에, slave node에서 같은 쿼리가 수행이 되서 복제가 반영되는 방식이다.


방식이 단순해서 신뢰도가 높은 반면, 단점으로는

  •  읽기와 쓰기 노드를 분리해야 하며,
  •  데이타 복제가 동기 방식이 아닌 비동기 방식으로 적용된다. 바꿔서 말하면, master node에 적용한 데이타 변경사항이 slave에 반영될때까지 일정 시간이 걸린다는 것으로, master와 slave node간의 순간적인 데이타 불일치성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응형